현재 한국에서 통신 채무를 연체하고 있는 인구는 37만 명 이상이라고 하는데요. 이러한 현상이 지속되는 걸 막기 위해 정부에선 대출금 및 통신비를 지원할 것임을 밝혔습니다.
정부에서 발표한 통신채무조정 정책 내용에 따르면 통신채무조정을 통해서 원금을 최대 90%까지 감면 받을 수가 있는데요.
오늘은 통신채무조정 감면 혜택, 지원 조건, 신청 방법에 대해 설명해 드리고자 합니다.
통신채무조정 감면 혜택 신청하기
먼저 통신채무조정에 혜택을 지원하는 기관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금융위원회, 신용회복위원회, 통신사로 나누어 말씀 드릴 수 있는데요.
해당 기관들에서는 통신요금 원금을 감면해주는 혜택과 더불어 일자리 연계를 통해서 추가적인 혜택을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이동 통신사에 따른 통신채무조정 감면 혜택은 아래와 같습니다.
일반 | 30% 감면 |
사회취약계층 | 70% 감면 |
기초수급자 | 90% 감면 |
중증장애인 | 90% 감면 |
보통 연체 채무자들을 제일 힘들게 하는 부분이 바로 채권추심인데, 만약 통신채무조정을 신청하면 신청한 바로 다음 날부터 추심이 즉각 중단되니 이 부분 참고해주시고요.
이 외에도 통신채무조정을 통해 받아볼 수 있는 추가적인 혜택은 취업 및 복지 연계, 신용 관리로 나뉩니다.
취업 연계 서비스 | -구직 노력 시 취업 촉진 지원금 제공 -취업 후 일시 완납 시 추가 감면 혜택 제공 |
복지 연계 서비스 | -복지 급여 제공 -채권 추심으로 인한 어려움 해소 시 심리상담 연결 |
신용 관리 서비스 | -신용 점수 상승시킬 수 있는 정보 공유 -가계부 작성 노하우 제공 -재무 관리 팁 공유 -계좌 압류 해제 방법 안내 -카드 발급 지원 |
▼바로 아래에서 통신채무조정 감면 혜택 확인해보세요.
통신채무조정 지원 조건 알아보기
그렇다면 통신채무조정 지원 가능한 자격 요건은 어떻게 될까요?
통신채무조정 지원 대상은 개인 채무 조정, 혹은 새출발기금 신청 대상자 중에서 통신 채무를 보유한 사람들인데요.
새출발기금 같은 경우, 법인은 신청이 불가합니다. 또 통신채무의 경우엔 비협약 채무로 분류되므로 전체 조장안 부동의 시 반송될 수 있음을 유의해두셔야 하고요. 만약 다른 금융권에 채무가 없고, 통신채무만 있을 경우엔 대상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조정채권 같은 경우엔 이동통신사를 비롯한 알뜰폰사가 보유한 통신요금, 소액결제사가 보유한 결제 대금을 조정하게 되는데요. 일부의 통신사에선 무선 서비스 요금을 비롯해 유선 서비스 요금까지 포함된다고 하네요.
SKT, KT, LGU+ 같은 통신3사의 경우 핸드폰 요금 외 인터넷 요금, 인터넷 TV 요금 등 포함 가능한 상세 항목이 다르기 때문에 이는 상담 시 확인하고 통신채무조정 신청을 하시는 게 좋습니다.
일단 통신 요금 채무 조정 대상엔 통신 3사와 알뜰폰사, 소액결제사가 모두 포함되어있는데요. 통신사 핸드폰 요금을 비롯해 소액결제 금액, 휴대폰 기계값도 이에 포함이 되어 있습니다.
또 통신 요금 및 소액결제액 외의 기계값 같은 경우엔 대위변제 후에 신청이 가능하단 점, 미리 숙지해두시기 바랍니다.
▼바로 아래에서 통신채무조정 지원 대상 및 항목 확인해보세요.
통신채무조정 신청 방법 알아보기
통신채무조정 신청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모두 가능한데요.
온라인 신청 시엔 신용회복위원회를 통해 통신채무조정을 신청해볼 수 있으며, 오프라인 신청을 원한다면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에 방문하시면 됩니다.
만약 통신채무조정 신청을 완료하면 신용회복위원회에서 통신 채무 뿐 아니라 금융 채무까지 한 번에 조정을 해보실 수도 있는데요. 소득과 자산심사 등을 모두 고려하고, 상환 능력을 감안하여 10년 동안 장기분할상환을 할 수 있게끔 조정 가능합니다.
덧붙여 말씀 드리자면 해당 제도가 시행되기 전부터 신용회복위원회의 채무 조정 제도를 이용하고 있던 분들이 있다면, 이러한 분들 역시 기존의 채무 조정에서 통신 채무를 추가해 조정할 수 있으니 신청 시 혼선 없기를 바랍니다.
▼바로 아래에서 통신채무조정 신청을 간단히 해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