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사회가 지속되면서 간병인 서비스를 이용하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간병인을 어디서 어떻게 구해야 하는지, 또 비용은 어느 정도 드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고 싶지만 어디서부터 어떻게 알아봐야 하는지 궁금하신 분들이 많으시죠?
오늘 포스팅에서는 간병인 서비스 업체를 찾는 방법 및 간병인 비용, 간병비 지원 정책에 대해 설명해 드리고자 합니다.
간병인 서비스 업체 알아보기
요즘은 간병인 구인 어플을 통해 간병인을 구하기도 하는데요. 오늘은 케어닥이라는 어플을 이용해 간병인을 구하는 방법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케어닥 알아보기
1️⃣ 케어닥 홈페이지 접속 혹은 케어닥 어플 설치하기
2️⃣ 로그인 후 돌봄 종류 선택(병원 돌봄, 자택 돌봄 중 택 1)
3️⃣ 간병 일자 선택
4️⃣ 돌봄 받을 주소 입력
5️⃣ 환자 정보 입력
- 성별, 출생년도, 체중, 장기요양등급
- 목욕, 세수, 양치 등 개인 위생 관리 수준 공유
- 식사 도움 진행 여부, 화장실 이동 및 이용 방법
- 격리병동, 폐쇄병동 입원 여부, 전염성 질환 진단 여부, 섬망, 치매 증상 여부
- 기타
6️⃣ 케어 코디 정보
- 케어코디 성별 선택
- 주요 돌봄 영역
- 돌봄시 알아야 할 내용
7️⃣ 신청 정보 확인 후 신청
- 신청 완료 후 24시간 이내로 연락 예정
정말로 간단하게 간병인을 구할 수 있는데요.
▼ 아래에서 케어닥을 통해 간병인을 빠르게 구하실 수 있습니다.
간병인 서비스 자세히 알아보기
간병인이란 보호자 대신에 환자를 보호해 주는 직업인데요. 종류는 크게 3가지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간병인 종류
1️⃣ 간병사
- 여러 민간기관이나 협회에서 주관하고 발급하는 민간 자격증인 간병사 자격증을 취득한 사람
2️⃣ 간병인
- 별도 자격증 없이 간단한 교육 진행 후 일하는 사람
3️⃣ 요양보호사
-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에서 주관하고 발급하는 국가 자격증을 취득한 사람
- 산재 환자나 교통사고 환자의 경우, 요양보호사 자격증 소지자가 꼭 간병을 해야함.
평균 비용
간병인 비용에 대한 규정이 따로 정해져있기 않기 때문에,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나 간병인의 요구에 따라 비용이 달라집니다.
- 일반/요양 환자: 1일 약 12만원~15만원
- 항암치료 환자: 1일 약 12만원
- 밤샘 케어 및 중증 치매 환자: 1일 약 13만원~
- 단기 간병비(7일 이내): 1일 약 13만원
- 요양병원 간병: 월 평균 250만원
일반적으로 위의 비용이 들지만, 환자의 상황에 따라 추가 비용이 들 수도 있다는 점 참고해 주세요!
간병인 비용 지원 정부 정책 알아보기
1️⃣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확대 및 강화(2024년 1월부터)
- 현재 평균 11만 2,197원으로 간병비를 내고 있었는데, 간호 간병 서비스 이용대상이 확대되면 2만 2,340원으로 간병 생활 가능
2️⃣ 요양 이용시설 간병비 지원 정부정책(2024년 7월부터)
- 대상: 장기요양 1,2등급 수준의 대상자
- 대상자 선정방법: 간병비 신청을 하면 정부가 의료 필요도와 간병 필요도를 검토하여 대상 선정
- 간병비 지원일: 기본 180일 예정